이러한 미학적 현상을 집중적으로 논의하기 시작한 것은 유럽의 역사적 아방가르드 예술 운동부터이다. 몸의 불안정성, 분열, 붕괴, 해체에 관한 담론은 이 시기의 거의 모든 예술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나타났고 지금까지도 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책은 초현실주의의 일탈된 몸에서부터 사이버 페미니즘의 몸 담론에 이르기까지 이러한 몸의 위기 현상을 재조명하면서 심도있게 서술하고 있다.
유럽의 전통적인 미학이론에 반기를 든 해체미학은 20세기를 관통하고 있는 예술이론이다. 해체미학은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나지만, 기존의 예술을 거부하면서 '새로운 리얼리즘'을 요구한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니체가 주장한 삶의 에술, 삶과 예술의 동일화에 대한 아방가르드 예술의 요구, 프랑크푸르트학파의 비판이론, 루만의 체계이론, 후기구조주의의 표층적 리얼리즘 등은 해체미학이 추구한 새로운 리얼리즘에 대한 인식의 다양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해체미학은 니체에게서 시작한다. 니체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반 예술이론의 패러다임이 크게 바뀔 무렵 발생한 수많은 이데올로기들의 근간이 되고 있다. 특히 20세기 초 전 유럽을 휩쓰렁ㅆ던 아방가르드 운동이 삶과 예술의 동일성을 표방하면서 예술의 우연성에 기반을 둔 해체미학 이론을 전개한 것도 역시 니체에게서 받은 영향이 크다.
아방가르드 예술운동은 유럽 및 미국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 프랑크푸르트학파의 비판이론 및 그 대변자격인 아도르노의 미학이론에서 많은 지지를 받고 있다. 후기구조주의의 미학이론에서 텍스트의 해체 및 주체의 해체 또는 '죽음'과 연관되어 다양하게 나타나는 해체미하도 니체와 아방가르드 예술이론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책이 해체미학의 내용을 니체에서 후기구조주의까지로 구성하고 있는 것은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