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국내저자 > 종교/역학

이름:정일권

최근작
2023년 12월 <에로스와 광기 : 프로이트의 황혼>

저자의추천 작가 행사, 책 머리말, 보도자료 등에서 저자가 직접 엄선하여 추천한 도서입니다.
이 분야에 3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옵션 설정
25개
1.
찰스 벨린저의 책 《폭력 계보학》은 르네 지라르의 사상에 큰 영향을 받은 책이다. ‘군중은 비진리다’(The Crowd is Untruth)라고 지속적으로 말한 키르케고르는 미묘하고 신학적으로도 심오한 폭력의 심리학 이해를 위한 기초를 제공한다. 지라르의 군중 이해는 키르케고르보다 훨씬 이론적으로 정교하고 방대하다. 군중 심리학에 대한 지라르의 이론은 고대 아즈텍 문명으로부터 현대사회에 이르기까지 방대한 사회과학적 데이터를 고려함으로써 현대의 철학적 인류학과의 대화 속에서 명확히 표현된 방대한 사회이론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키르케고르의 기독교 실존주의 철학과 그 이후의 독일 하이데거와 프랑스의 사르트르와 시몬 드 보부아르에게서 발견되는 무신론적이고 신이교주의적인 실존주의 철학 사이에는 차이가 존재한다. 영지주의 연구의 대가 한스 요나스는 하이데거의 철학을 허무주의적 실존주의로 파악해서 현대의 새로운 영지주의로 분석한 바 있다. 키르케고르가 말한 신 앞에서의 단독자와 니체와 하이데거가 자신들의 디오니소스적 메시아주의 속에서 선택한 군중의 신 디오니소스는 대조된다. 키르케고르 이후의 실존주의 철학은 집단주의로서의 사회주의적 실존주의로 기울게 된다. 키르케고르의 경우처럼 하나님 앞에서의 단독자가 실존주의 철학의 중심이 아니라, 니체와 하이데거의 허무주의적 실존주의 철학에서는 군중의 신인 디오니소스가 중심에 자리 잡게 된다. 찰스 벨린저는 르네 지라르뿐 아니라, 오스트리아 정치철학자 에릭 뵈겔린(Eric Voegelin)을 이 책에서 상세하게 논의하고 있다. 뵈겔린은 한스 요나스(Hans Jonas)의 고전적인 영지주의 연구를 정치연구에 적용해서 고대 영지주의와 현대 전체주의적 운동들 사이의 유사성을 분석한 바 있다. 뵈겔린에 의하면, 독일 민족사회주의(나치즘)와 국제사회주의(소련 공산주의 운동)는 새로운 영지주의 운동이다. 20세기의 이 두 사회주의적 전체주의 운동은 모두 일종의 대체종교(Ersatz-Religion)’ 혹은 ‘정치종교’(Politische Religion)들로서 “영지주의적 군중 운동”이라는 것이 뵈겔린의 기본적인 분석이다. 르네 지라르와 폭력 계보학에 대한 연구로 이 책을 적극 추천한다.
2.
이 책은 현대 민주주의의 탄생과 발전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준 유대-기독교적 전통 가운데서 특히 칼빈주의적 장로교회가 의회민주주의와 의원내각제의 탄생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사실을 잘 보여주고 있다. 현대 자유민주주의의 탄생에 핵심적으로 공헌한 장로교회에 대해서 알고자 하는 지식인들에게 추천한다.
3.
데이빗 사례는 성별 정체성 과 성적 지향이 주로 선천적이며 출생 전 뇌 및 신경계가 호르몬 이나 다른 유전적 영향을 받아서 생기고 성전환에 한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즉 데이빗의 삶은 신경생물학적 영향이 성별 정체성과 성적 지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잘 보여준다. 또한, 이 책은 소아성애, 가학 피학성 성욕, 절단 페티쉬, 호분증, 성적 쾌락을 위해 자신의 목을 조르는 행위 그리고 아동 성교 놀이를 지지한 성 혁명 선동가 존 머니의 민낯도 고발한다. 최근 퀴어 이 론의 아버지인 미셀 푸코의 동성애적 소아성애(남색)가 폭로되었 고 독일 68 성교육의 교황 헬무트 켄틀러 교수의 소아성애 게이트 가 폭로되기도 했다. 68 성 혁명 운동의 가장 큰 피해자들은 사회 적 약자인 어린이들이다. 성별 정체성의 혼동화를 목표로 하는 젠 더 이데올로기의 기초가 되는 존 머니의 성중립적 젠더개념의 허 구를 고발한 이 책을 강력 추천한다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