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구'로 보는 지도
지구의 모든 면을 동시에 보여주는 반구 세계지도는 세계의 중심을 다르게 바라보게 해준다. 오해와 편견에서 벗어나 마주한 폭 넓은 세계.
다와다 요코 문학의 정수
‘Hiruko 여행 3부작’ 마지막 이야기. 태어난 나라가 지구상에서 사라진 주인공 Hiruko와 그의 즉흥 언어 ‘판스카’로 연결된 친구들의 여정을 그린다.
언제든 읽어봐야지 했던 책이었는데 결국 읽고 있는 책에 언급되어서 읽었다.외국 소설을 읽을 때면 매번 등장 인물이 많아서 힘들고, 인물들 이름이 어려우니 되돌아가서 자꾸 읽게 되는 경험을 하곤 한다. 인물 관계도 복잡해서 대체 왜 이렇게 복잡한 건데 하다 보면 완독을 포기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이렇게까지 힘들게 읽어야 하나 싶기도 하고).이 소설은 이야기도 비교적 짧고 등장 인물들도 많지 않아 나와 비슷한 결을 가진 독자들도 부담 없이 접근할 수 있을 것 같다.이 책은 유람선에 있던 사람들이 말로라는 선원을 만나 이야기를 듣는 내용이다. 작가는 콩고강을 운항하는 기선의 선장으로 잠시 일한 적이 있는데 그 체험이 소설을 쓰는 바탕이 되었다고 한다.물론 작가의 체험과 극중 화자인 말로의 이야기가 동일시될 수는 없겠으나 어느 정도는 따오고 일정 부분 허구를 덧붙였을 것으로 보인다.한쪽 끝에는 일곱 가지 무지개색으로 표시된 크고 번질거리는 지도가 한 장 놓여 있더군. 붉은색이 차지하는 면적이 아주 넓었는데, 그곳은 언제 보아도 우리를 흐뭇하게 하지. 거기서는 어떤 실질적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우리가 알기 때문이야. 파란색 지역도 꽤 넓었고 녹색 지역 약간에 귤색도 보이더군. 그리고 동해안의 자줏빛 지역은 명랑한 발전의 선구자들이 그 좋다는 라거 맥주를 마시고 있는 곳을 가리켰어. 그러나 나는 그런 색이 칠해져 있는 곳으로 가게 되어 있는 게 아니었지. 노란색 지역으로 들어가게 되어 있었어. 그곳은 지도의 한복판에 있었어. 바로 거기에 그 강이 마치 뱀처럼 매혹적으로 무시무시하게 놓여 있었지.19세기 말 영국과 프랑스를 비롯한 제국주의 국가들은 아프리카의 자원에 탐을 내고 꽂으면 깃발이 되는 그런 제스처를 취했다.당시 콩고는 벨기에의 식민지였다고.말로는 아프리카의 벨기에령 콩고에서 기선 선장으로 취직한 후 콩고강 상류의 오지까지 배를 몰고 가는 과정에서 온갖 체험을 하게 된다.그는 콩고에 도착하여 자신이 그렸던 모습과 다른 현실에 적잖이 당황했다. 그러다 주재원 커츠를 데리고 나와야 한다는 이야기를 듣고 나서부터는 그 목적을 위해서 일명 흐린 눈 처리가 가능해진다.그러나 실상 커츠는 현지의 주재원들에게 칭송을 받았을지 몰라도 현지의 원주민을 착취하고 코끼리의 상아를 약탈하는 데 몰두하는 인물이었다.현지 회사 지배인은 그가 상도덕을 무시하고 일명 선(?)을 넘자 그에 대한 기대치를 낮출 정도였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말로는 커츠라는 인물이 어떤 사람인지에 대해 점차 궁금해한다.사실 커츠의 타락한 도덕성의 진면목을 보고 나는 종국에는 말로가 그를 욕하거나 갈등이 폭발해서 부딪치는 장면이 나올 거라 예상했으나 전혀 아니었다.말로는 몸이 약해져 배 위에서 ˝무서워!˝를 외친 후 죽게 되는데 말로는 그런 그의 모습이 삶에 대한 후회를 표시하는 동시에 어떤 깨달음을 얻었다고 보았다.말로가 그에게서 일정 정도 연민을 느낀 것은 자신도 그럴 수 있다는 어떠한 감정적 발로가 아니였다고 보인다.한때 커츠의 소유물이었던 것이 모두 내 손에서 빠져나갔어. 그의 영혼, 그의 육신, 그의 주재소, 그의 계획, 그의 상아, 그의 필생의 과업 같은 것 말이네. 남은 것이라고는 그에 대한 기억과 그의 약혼녀뿐이었어. 말하자면 나는 그런 것들마저 과거로 넘기고 싶었던 걸세. 나는 아직 내게 남아 있던 그의 잔재를 인간의 공동 운명에서 마지막 경지라고 할 수 있는 망각의 세계로 손수 넘겨주고 싶었던 거야. 나는 내 처사를 변명하고 싶지는 않아. 내가 진실로 원한 것이 무엇인지조차 분명히 몰랐으니까. 아마도 그것은 무의식적으로 커츠에게 충실하자든가 아니면 인간 존재의 여러 면모에 도사리고 있는 기이한 필요성 중 하나를 수행해야겠다는 충동이었을 테지.이처럼 말로는 커츠의 체험을 통해 자신의 삶을 돌아보는 과정을 거친다. 사실 나는 이 책을 지배자가 피지배자를 약탈하는 것이 정당한가 인종주의는 옳은가 라는 단순한 질문과 호기심을 갖고 읽었다.당시 아프리카로 내려간 유럽인들이 모두 현지 주민을 약탈하는 등 제국주의적 행동을 했을 거라고는 보지 않는다.적어도 선의나 호의를 갖고 접근한 사람들도 있었을테니. 보고서의 주장은 이렇게 시작되. 우리 백인들의 발전을 출발점으로 삼아 ˝그네들 야만인에게는 마땅히 초자연적인 존재인 것처럼 보여야 하고, 하느님 같은 힘을 과시하면서 그들에게 접근해야 한다.˝ 등의 내용이 바로 그거야.그리고 ˝우리는 단순히 의지를 행사하기만 해도 실제로 무한한 이익을 위한 능력을 발휘할 수 있어.˝바로 여기서부터 그의 어조는 고양되어 나를 사로잡기 시작하더군. 보고서의 맺음말은 화려했어.위엄 있는 선의를 가지고 그 거대한 이국적 세계를 통치해야 한다는 생각이 담겨 있었어.그 구절을 읽으니까 나도 열광하지 않을 수 없더군.그러나 이는 정확히 제국주의적 시각이며 화자인 말로의 생각과 행동에도 은연 중에 드러난다.야만을 문명화하겠다는 주장에 다름 아니기 때문이다. 다만 소설은 제국주의가 어떤 귀결로 끝이 날지 당연하겠지만 말해주지는 않는다.우리가 무슨 자격으로 그 세계로 들어왔을까? 우리가 그 말 없는 세계를 지배할 수 있을까, 아니면 그 세계가 우리를 지배하게 될까? 말을 할 줄 모르고 아마 귀까지 먹었을 그 세계가 실로 엄청나게 거대하다는 것을 나는 절감했어. 그 세계에는 무엇이 들어 있었을까?
거리의화가님https://m.blog.naver.com/syeong21/223677799774푸코의 철학을 개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진태원 박사 등의 『푸코와 철학자들』을 읽던 중, 푸코와 과학 철학자들 사이의 연결고리에 흥미가 생겼다. 나의 주요 관심사인 존재론과 과학이 만나는 지점을 통해, 새로운 인식의 시각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이 과정에서 푸코를 통해 알게 된 조르주 캉길렘(Georges Canguilhem)은 특히 의학을 전공한 철학자로, 의철학을 공부할 때 중요한 길잡이가 되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라이언럽님한강 지음
세이노(SayNo) 지음
성서유니온 출판부
유진 피터슨 지음, 김순현 외 옮김, 김회권 외 감수
전용문.박현민 지음